뉴스

뉴시스

광주·전남 '1인 가구' 비중, 전국 평균 웃돌아···60대 다수

입력 2025.03.18. 17:20
1인 가구주 월 평균 소득 타 광역단체보다 낮아
1인 가구 증가 복지수요 영향…다각적 접근 필요
[무안=뉴시스] 전남도가 취약계층 독거노인의 건강과 밀착 생활 관리를 위해 보급할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한 반려로봇.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이창우 기자 = 광주와 전남지역 1인 가구 비율이 전국 평균을 넘어선 가운데 60대 비중이 높아지면서 향후 복지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지역 1인 가구 현황과 소비지출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광주지역 1인 가구 비중은 36.5%(22만9000가구), 전남지역은 37.1%(29만5000가구)로 집계됐다.

1인 가구 비중을 살펴보면 광주는 20~30대와 60대, 전남은 60대 이상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광주·전남지역 1인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중인 가운데 향후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2050년 예상 1인 가구는 광주 40.3%(24만1000가구), 전남 42.0%(32만6000가구)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1인 가구주 소득의 경우 광주는 월평균 128만3000원으로 다인 가구주(206만3000원)의 62.2% 수준에 불과했다. 이는 타 광역자치단체 월평균소득(150만5000원)보다 약 20% 정도 낮은 수준이다.

전남 1인 가구주 월평균 소득은 103만9000원으로 다인가구주 월평균 소득(158만6000원)의 65.5% 수준에 그쳤다. 타 도지역 1인 가구주 월평균 소득(140만4000원)과 비교 시 약 25% 낮았다.

이는 광주·전남지역 1인 가구주들이 경제적으로 열악한 삶을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1인 가구 가운데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은 광주와 전남 모두 31.5%로 다인가구주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형태는 광주지역 1인 가구의 경우 자가 비중은 35.7%로 다인가구(73.3%)의 절반 수준에 그쳤고 반면 월세 비중은 47.4%로 다인가구(14.3%)보다 3배 이상 높았다.

전남지역 1인 가구의 자가 비중은 58.0%로 다인가구(77.8%)보다 낮은 수준이며 월세 비중은 25.2%로 다인가구(9.8%) 대비 2배 이상 높았다.

한국노동패널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가구 유형별 소비지출 특징을 비교한 결과 광역시 1인 가구는 식비(32.1%), 주거비(18.1%)가 전체 소비의 절반을 차지했다.

반면 광역시 다인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은 식비(25.4%), 교육비(8.6%), 차량 유지비(8.1%), 주거비(7.6%) 순 등으로 조사됐다.

도 지역 1인 가구와 다인가구 소비지출 구조는 광역시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는 1인 가구와 다인가구의 소비 항목 차이는 지역 내 산업 구조의 변화를 유발할 것으로 전망했다.

1인 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식비·주거비 등 특정 항목에 소비가 편중되는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또 소비지출에 따른 지역 내 고용유발효과는 다인가구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광주지역 1인 가구의 소비지출은 운송 부문에서 고용유발효과가 크지만 교육 부문에선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인가구의 소비지출에 따른 고용유발효과는 1인가구보다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음식·숙박, 보건복지, 교육, 기타서비스, 운송 등에서 고용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지역 1인 가구의 소비지출은 지역 내 음식·숙박, 보건복지, 농림수산품, 기타서비스 부문에서 고용효과가 크지만 교육, 금융보험 부문에선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인가구의 소비지출에 따른 고용유발효과는 보건복지, 음식·숙박, 농림수산품, 교육, 기타서비스 등 보다 다양한 부문에서 고용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관계자는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소비구조가 변하고 특정 산업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지역 경제의 성장과 복지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1인 가구의 경제적 여건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형성하기 위해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cw@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 본 매물이 없습니다.